공연 한창인데 무대 난입해 도구 팽개치고 걷어차…"내가 관리소장" 거짓말도 예술가가 게시한 글·동영상 확산…울주군 "용역업체 관리 잘못한 책임 통감" 울산 간절곶 공원 전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 울산의 대표적인 해안 명소인 간절곶공원을 관리하는 사설 경비업체 직원이 정식으로 허가를 받고 공연을 진행하던 거리예술가를 내쫓은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 직원은 어린이를 포함한 가족 단위 관객 수십명이 지켜보는 상황에서 공연에 필요한 소품을 바닥에 팽개치거나 발로 걷어찼다. 울주군은 경비업체 과실을 모두 인정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팬터마임을 위주로 넌버벌(말을 하지 않는) 공연을 하는 거리예술가 A씨는 지난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당일 자신이 겪었던 경험을 소개한 글과 함께 동영상을 게시했다. 이 게시물에 따르면 울주군에서 지원금을 받고 거리공연을 하는 A씨는 2일 간절곶공원에서 두 번째 공연을 했다. 찰리 채플린을 연상시키는 광대 복장을 한 A씨가 한창 공연을 이어갈 때, 한 남성이 무대로 들어와 공연 도구를 빼앗아 땅에 내팽개치며 "가!"라고 소리쳤다. 잠시 당황한 A씨는 무대 한편에 세워져 있던 공연소개 안내판을 남성에게 보여줬는데, 남성은 안내판마저 발로 차버렸다. 당시 영상을 보면 아이들과 함께 공연을 구경하던 관객은 수십명에 달했다. 공연을 이어가기 어렵다고 판단한 A씨는 관객에게 "울주군에서 정식으로 허가를 받고 공연을 하는 예술가"라는 자기소개와 함께 "정식으로 허가를 받고 진행한 공연"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는 중에도 남성은 A씨를 노려보거나, 주변 증거 사진을 찍으며 무대 철수를 종용했다. 일련의 상황을 지켜본 관객들이 "왜 아무 설명도 없이 그러느냐"며 항의하자, 남성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민심 이반에 고심하는 기류도…이낙연 "파악해 대처 상의" 추미애 장관 출근길 (과천=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11일 오전 경기도 정부과천청사 법무부로 출근하고 있다. 2020.9.11 pdj6635@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이보배 홍규빈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11일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을 둘러싼 의혹이 갈수록 확산하는 데 대해 "가짜뉴스", "정체공세"라며 맞섰다. 김종민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현재까지 나온 모든 의혹은 거의 사실이 아니다"라며 "국민의힘은 가짜뉴스로 국민을 심란하게 하지 말고 신원식 의원에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염태영 최고위원은 "언론의 정치화, 편향된 시각의 비틀기, 야당의 정치공세가 도를 넘고 있다"며 "진실 규명보다 정치적 단죄 효과를 노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신동근 최고위원은 "조국 전 장관에 대한 무차별 의혹 제기가 재판에서 허위로 밝혀졌다"며 "추 장관 아들 의혹 제기도 근거를 확인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설훈 의원은 YTN 라디오 '출발 새아침'에서 "전형적인 덮어씌우기다. 참 억울하기 짝이 없게 당하고 있구나 싶다"며 "결국은 추 장관을 끌어내리기 위한 방법"이라고 야당을 비판했다. 김경협 의원은 페이스북에 "아무거나 가족 관련 의혹 제기해서 검찰수사 들어가면 이해 충돌로 몰아서 사퇴하면 끝? 법무부 장관 갈아 치우기 참 쉽죠잉?"이라고 적었다. 야당 공세에 검찰개혁을 좌초시키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문제 제기도 잇따라 나왔다. 최민희 전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검찰 개혁하려는 법무부 장관 흔들기 코스"라고 말했다. 최고위가 생중계된 당 유튜브 채널 ...
전 주한미군 작전참모 "경제·안보 모두 손해"…여당서도 비판 목소리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트위터 갈무리 (서울=연합뉴스) 현혜란 기자 =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1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주한미군 감축 움직임을 비판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이날 트위터에 '한국에서 트럼프 철수?'라는 제목의 월스트리트저널(WSJ) 사설을 링크하며 "철수하는 미국은 다시 위대해질 수 없다"고 적었다. 볼턴 전 보좌관은 "한국과 독일에서의 병력을 철수하는 것은 독재 정부에 잘못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자 가까운 동맹국을 버리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WSJ은 17일 국방부가 지난 3월 백악관에 주한미군 감축 옵션을 제시했다고 보도했고, 이어진 이튿날 사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아프가니스탄, 독일, 한국에서 미군 병력 철수를 압박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에 대해 주한미군 특전사령부 작전참모 출신 데이비드 맥스웰 민주주의수호재단(FDD) 선임연구원도 이날 미국 군사 전문 매체 밀리터리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주한미군 철수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인력과 각종 군 장비를 돌려보내고 환경영향평가를 마치기까지 엄청나게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갈 텐데 계산기를 두드려보면 경제적 측면과 안보적 측면에서 모두 수지가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국에 주둔 중인 미군 2만8천500명을 어디로 배치할지도 국방부가 당면한 과제다. 만약 한국뿐만 아니라 독일, 일본에서도 미군을 철수한다면 방정식은 더욱 복잡해진다고 맥스웰 연구원은 우려했다. 맥스웰 연구원은 "동북아에서 핵심축 동맹을 뒷받침하는 것은 공동의 관심이자 공동의 가치"라며 "한국에서 미군을 빼낸다면 미국의 국가안보 이익도 사라진다"고 경고했다. 미국 정부가 주한미군 감축을 고려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야당인 민주당뿐만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이...
댓글
댓글 쓰기